내 일을 위한 기록, 제갈명(단단), 더퀘스트

키워드: 독서, 기록, 메모, 루틴, 습관

한줄평 나는 왜 그 동안 기록을 정리하며 살지 못했지? 이렇게 좋은 방법이 있었구나

p.19 기록으로 성장한 사람들의 공통점 네 가지

  1. 오랜 시간 꾸준히 기록한다
  2. 기록 대상과 목적이 명확하다
  3. 영감을 기다리지 않고 루틴과 시스템 속에서 영감을 발굴한다
  4.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공개된 공간에 기록을 공유한다

p.29 김호 작가는 무슨 일을 하려면 그 일을 하기 위한 시간부터 확보해야 한다며, 아무도 침범하지 못하는 나와의 선약을 잡아서 계획한 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른에게 필요한 것은 거절과 포기 능력이다.

p.75 나만의 기록이 쌓이는 5단계 습관

  1. 15초 영감 메모
  2. 기록 디톡스: 설레지 않으면 지워라.
  3. 기록에게 제 자리 찾아주기
  4. 기록을 콘텐츠로: 콘텐츠=기록+나만의 해석
  5. 콘텐츠를 브랜드로

p.87 기록은 하는 것보다 다시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우리가 다시 봐야 할 가치 있는 기록은 불필요한 것을 지운 다음 남긴 의식적인 기록이다.

p.124 멋있는 사람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진 사람은 ‘응원하고 싶은 사람’이다.

p.141 내가 남긴 기록에서 키워드 발굴하기

  • 과거: 그때 나는 ‘왜’ 그랬을까?: 생활기록부, 성적표, 대학 전공, 오래된 일기
  • 현재: 지금의 나는 ‘어떻게’ 살고 싶은가? : 가계부, 시간 기록표, 최근 일기
  • 미래: 앞으로 나는 ‘무엇을’하고 싶은가?: 목표, 계획, 꿈

p.150 <현재 기록 다시보기>

  • 매일 아침 저녁으로 일기 쓰기
  • 매달(매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한 달 동안 쓴 일기를 읽고 ‘한 달 회고’를 한다

p.152 <미래 기록 다시보기>

  • 매일 밤 ‘드림보드’ 작성하기: 원하는 미래의 하루를 상상해서 두세 줄로 정리한다. 이때 누구와 무엇을 어떤 감정으로 하고 있는 지 구체적으로 떠올린다_시크릿과 관련 있는 것 같음!
  • 분기별 ‘분기 드림보드’ 작성 4단계
  1. 1단계, 핵심 가치 정하기: 매일 드림보드에서 키워드를 정한다(다섯 개 정도 정하기)
  2. 2단계, 미래의 나 구체화하기: 10년 후 목표를 구체적으로 상상해본다. 그 목표를 이룬 하루를 상상해본다
  3. 3단계, 선택과 집중: 꿈을 이루기 위해 비울 것과 채울 것을 선택하기. 버려야 할 습관, 관계, 일, 생각이 무엇인지 고민하기
  4. 4단계, 단기 목표 세우기: 1년, 한 달, 하루의 목표와 루틴을 설계한다

p.198 사람들은 머리로 알아도 의외로 잘 실천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경험을 아낌 없이 나누는 사람에게 더 깊은 신뢰를 보낸다.

p.211 하루, 일주일, 한달을 기준으로 회고하는 법

  • 하루회고(나만 보는 기록) - 솔직한 감정과 고민, 감사일기 - 아침템플릿: 하루를 시작하며 컨디션을 체크하고 원하는 하루를 그려본다 - 저녁템플릿: 하루를 돌아보며 먹은 것, 성취한 것, 감사한 일을 떠올린다
예시:
아침일기
수면시간
모닝컨디션
오늘의 확언
어떤 하루를 보내고 싶어?
저녁일기
하루 동안 먹은 것 정리
원하는 하루를 보냈어?
그래도 감사한 일 </aside>
  • 일주일 회고(SNS 공유) - 일주일 성장 보고서 ‘프리워커 주간 보고’ - 주간 템플릿: 한 주간의 배움과 경험을 정리하고 다음 주를 계획한다
누구를 만나고 어떤 일을 했어?
무엇을 배웠어?
어떤 감정을 느꼈어?
다음 주는 어떻게 보내고 싶어?

  • 한 달 회고(SNS 공유) - 나의 한 달을 매거진으로 발행 - 월간 템플릿: 일기, 휴대폰 사진첩, 구글 메모장을 보면서 **6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달 기록을 요약한다
예시:
프리워커 라이프
휴식
채소
공부
루틴

p.233 고민해결노트: 나의 고민이 누군가에게 인사이트가 된다. 고민해결노트는 한 달에 하나의 질문에 집중해서 답을 하는 기록이다. 한 달에 하나의 질문이 1년 간 모이면 열두 개의 질문이 된다. 이 질문을 쌓아서 콘텐츠를 완성하는 것이다.

고민 해결 노트 작성법

1단계, 한 달에 하나의 질문 정하기

   - 한 달에 하나의 질문만 선택해 집중한다

   - 1년이면 12개의 깊이 있는 질문이 쌓인다

   - 각 질문은 한 편의 콘텐츠가 될 잠재력을 가진다.

2단계, 고민을 질문으로 변환하기

   - 나쁜 예: 일하면서 화가 날 때 어떻게 해야될까?(모호함)

   - 좋은 예: 무례한 업무 요청을 받을 때 흥분하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하려면 어떻게 해야할 까?(명확함)

<자연스러운 반복을 위한 환경 설정>

  1. 구글 캘린더에 고정 일정을 설정한다. 이 때 시간까지 정확히 배정해두어야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해결 노트 작성)
  2. 구글 킵에 질문을 적어두고, 매일 밤 기록 디톡스를 하면서 다시 본다. </aside>

꼬리 물기

  • 지타임리포트로 시계부 정리하기
  • 관련책: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김호), 세컨드브레인, 세컨드브레인부스(티아고 포르테)
  • 구글킵이 좋지만, 나는 노션에 inbox를 따로 만들어서 메모를 그때 그때 정리할 계획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